우리 주변에 있는 제품과 서비스에는 생각보다 여러 요소가 숨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부가세(부가가치세)는 우리가 숨쉬듯 내고 있는 세금 중 하나입니다. 너무 자연스러워서 부가세 개념이 와닿지 않는데요. 부가세란 무엇인지, 부가세 계산 방법 등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부가세 뜻
부가가치세 영어로 VAT(value Added Tax)인 부가세란 상품이나 서비스 과정에서 창출된 가치를 기준으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파스타 재료비에도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고, 파스타 매출에도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가세를 알아보려면 부가세 별도 금액와 부가세 제외 금액을 알아야 합니다.
부가세 계산법 : 공식
파스타 재료비와 파스타 매출 기준으로 부가세 계산법을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부가세 제외 계산 공식
- 파스타 재료비 : 55만원 / 1.1 = 50만원
- 파스타 매출 : 110만원 /1.1 = 100만원
부가세 제외 계산 공식은 금액에서 1.1을 나눠주면 됩니다.
- 파스타 재료비 = 원가 50만원 + 부가세 5만원
- 파스타 매출 = 원가 100만원 + 부가세 10만원
- 파스타 매출 부가세 – 파스타 재료비 부가세 = 10만원 -5만원 =5만원
즉, 부가세는 5만원이 나옵니다.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면 부가가치세는 사업자의 이윤이나 마진에 붙는 세금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이때 사업자가 소비자 모두 의아해 하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부가가치세 소비자 부담’입니다.
부가가치세 소비자 부담 이유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처럼 부가가치세는 상품,서비스의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입니다. 그래서 부가가치를 생산하지 않은 소비자가 부담하는데요. 이때 주의할 점은 소비자가 세금금액까지 납부한 것이므로, 사업자는 부가세 납부 기간에 신고를 해야합니다.
부가세 신고 기간 챙겨야 하는 이유
부가가치세 소비자 부담 하는 대신 납부는 사업자가 하는데요. 부가세 신고 기간은 6개월을 과세 기간으로하고 상반기, 하반기를 나눠 납부합니다. 하지만 처음 사업을 하는 경우 부가세 만큼도 수익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막상 부가세 신고 기간에 부가세 납부할 돈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애초에 내가 잠시 보관만하고 있는 돈이라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불상사를 피하려면 대략적으로 부가세 금액이 얼마인지 부가가치세(vat)계산기를 통해 대략적으로 알아두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부가가치세 vat 계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