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고 나면 보험료 인상? 자동차보험료 할증 기준 한눈에 보기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사고를 겪을 수 있습니다. 사고가 났을 때 보통 “누가 더 잘못했는가?”를 따지게 되지만, 문제는 단순히 사고 과실 비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가해차량 피해차량 관계없이 사고가 나면 모두 보험료 할증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인데요.


이건 2023년 보험법 개정으로 시행된 “과실책임주의”이 적용되면서, 대인 보상 처리 방식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참고 : 서울경제


과거 대인 보험에는 사고 과실 비율과 상관없이 상대방 과실이 있다면, 상대방 보험사에서 치료비를 지급했었지만, 현재는 과실책임주의 원칙이 적용되면서 대인 금액 한도 내에서 본인 과실 부분에 대해 자동차보험으로 처리 된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대인보상 책임보험 한도는 120만원 정도로, 이 금액까지는 기존대로 진행되지만 초과될 경우 나의 과실비율만큼 지불하게 됩니다.


즉, 사람이 다친 경우에도 잘못한 정도(과실 비율)에 따라 비용을 나눠서 부담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피해를 입었어도 조금의 잘못이 있다면 치료비 일부를 보험 처리해야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자동차나 물건이 부서진 부분(물적 비용)은 과실 비율에 따라 보상금액이 달라집니다.


자동차 사고 후 자동차보험료 할증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정리하자면, 경미한 접촉사고라도 가해차량은 당연히 보험료 인상이 되지만 피해차량도 자동차 사고로 기록되며 무사고 할인 등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당장 큰돈이 나가지는 않지만, 결국 쌍방 모두 ‘자동차보험료 할증’이라는 패널티를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사고가 나면 무조건 자동차보험료 할증 된다는 말인데, 할증이 되면 자동차보험료가 얼마인지가 궁금해집니다. 이건 자동차보험료 할증 기준을 살펴보면 대략적으로 얼마 할증될지 추정할 수 있는데요. 살펴볼게요.


자동차보험료 할증 기준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차보험료는 여러요소들로 인해 할증 금액이 정해집니다. 정확한 금액은 각 보험사를 통해 보험료 계산을 할 수 있지만, 대략적으로 얼마 정도 인상될지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료 할증 계산 방법

자동차보험료 = 기본 보험료 * 가입자특성요율 * 보험등급(할인/할인 요율) * 특별계약 적용요율 * 물적사고 할증요율 * 특별요율 * 사고건수별 특성요율(특성화계수)
  • 기본 보험료 : 차량 종류, 배기량, 나이, 용도 등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기본 보험료
  • 보험등급 : 사고가 났을때 경중에 따라 점수 계산이 되며, 등급별로 할인/할증 요율이 있음
  • 사고건수별 특성요율 : 3년이내 사고율이 얼마인지를 판단하는 요소


자동차보험료 할증 계산식은 정말 복잡합니다. 계산식을 찬찬히 살펴보면 사고가 났을때 변동되는 요소는 ‘물적사고 할증요율‘, ‘보험등급‘, ‘사고건수별 특성요율‘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보험등급이 보험료 할증에 큰 영향을 줍니다.


보험등급이 자동차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사고가 나면 사고점수 1점당 1등급이 낮아지게 됩니다. 물적사고 및 대인사고 점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물적사고 점수

자동차보험 계약 시 설정한 물적한도 금액을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됩니다.

  • 물적한도 금액 미만 : 0.5점
  • 물적한도 금액 이상 : 1점

이미 한도 초과라면 보상금 여부 상관없이 부과됩니다.


2.대인사고 점수

대인사고 점수는 최대 4점까지 부여될 수 있으며, 대인사고 점수는 인원수 보상금액이 아닌 부상등급이 제일 높은 사람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멀쩡해보이는 아주 경미한 부상 상태라도 일단 대인접수를 하면 1점이 부과됩니다.

  • 척추나 염좌 같은 경우 : 보통 2점
  • 사망사고 : 건당 4점
  • 부상 상해급수 : 건당 1점~4점
  • 자기신체사고(자동차상해특약) 담보 사고 : 건당 1점


여기서 꼭 알아야하는 것은 ‘똑같은 사고라도 보험등급에 따라 자동차보험료 할증비율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보험등급이 높은 사람은 할증이 미미하지만, 보험등급이 낮다면 할증이 많이 붙습니다. 그 이유를 알아볼게요.


자동차보험 등급

자동차보험 등급은 1Z~29Z까지 존재하며, 생애 첫 자동차보험 가입 시 부여 받는 보험 등급 11Z부터 시작합니다. 자동차보험 등급이 왜 중요한지는 아래 표를 보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삼성화재 자동차보험 등급표

1Z17811Z7821Z45
2Z14012Z7122Z43
3Z12413Z6523Z42
4Z11314Z6224Z41
5Z11315Z5825Z39
6Z10016Z5426Z38
7Z9917Z5327Z35
8Z9218Z5028Z34
9Z8619Z4829Z31
10Z8320Z4729P31
참조 : 손해보험협회공시실


위 표에서 ‘숫자 + Z’가 있는데 ‘자동차보험 등급’을 나타냅니다. 보험 등급은 29P에 가까울수록 높은 것이고 무사고 1년마다 한등급씩 올라갑니다. 이 보험등급이 중요한 이유는 보험등급에 적용되는 ‘할인할증요율’때문입니다.


‘자동차보험’ 등급 오른쪽에 있는 숫자가 ‘할인할증요율’입니다. 표를 살펴보면 등급이 높아질수록 숫자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 등급은 모든 보험사에서 공통으로 사용되지만, 할인/할증요율은 보험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현대해상, DB손보 등 할인할증 비율은 이곳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사고가 났을때 ‘사고 점수 1점당 1등급씩’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처음 자동차보험 가입 할때 받는 보험등급은 11Z입니다. 이 기준에서 사고가 나서 대물 1점, 대인 1점을 받았다고 가정을 하면 자동차 할증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11Z 등급(78%)에서 9Z등급(86%)으로 2단계 떨어지면 자동차보험료 8%가 할증됩니다.
  • 반면에 등급이 24Z(41%)였고, 2등급 떨어져 22Z(43%)가 됐다면 보험료는 2%만 인상됩니다.

즉, 보험등급이 낮을 경우 1등급만 하락해도 할인요율 변동이 크다는 것입니다. 보험 등급이 낮을때 큰 사고를 냈다면 보험료가 많이 오르게 됩니다. 그래서 자동차보험 갱신할 때 반드시 자신의 보험등급을 미리 확인하고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경미한 접촉사고가 났을때 등 대처를 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자동차보험 등급에 따라 대처하기

보험등급이 낮으면 보험등급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를 들어, 물적사고가 났다면, 최대한 물적한도보상비용 미만으로 낮추고 본인 차량손실이 크지 않다면 자차처리도 안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물적보상비용이 이미 한도를 넘었다면 자차 처리 하고 마음 편하게 물적사고 점수는 최대 1점이니 받아드리는게 좋습니다.


문제는 대인사고입니다. 대인사고 점수는 최대 4점까지 나올 수 있고, 접수만해도 1점이 부과되므로 등급이 낮을때는 보험료 인상이 확 체감될 정도입니다.

  • 만약 보험등급이 낮은 상황에서 자신이 경미한 사고를 냈을 경우 과실비율을 최대한 조정해 서로 대인접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보험등급이 높다면 이런 고민보다는 빨리 보험처리하고 무사고 기간을 늘리는게 이득입니다. 점수가 떨어지더라도 할증 비율 변동은 크지 않을테니 말이죠. 그래서 사고 없이 안전하게 운전하는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영향 미치는 또 다른 요소

주의해야할 건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험등급 외에도 ‘사건건수 특성요율’가 있습니다. 이 요율은 최근 3년간 사고 유무와 사고 건수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이 기간 동안 무사고 일 경우 할인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사고가 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무사고 할인 적용은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3년 동안 사고 이력이 쌓인다는 것입니다.

  • 1년 이내 사고에 대해서는 가해 차량일 경우만 사고 이력이 남지만, 3년 이내에는 가해자 피해자 상관없이 모두 사고 이력에 남는다는 것입니다.
  • 사고 발생 후 3년이 지나면 사고 이력이 사라지고 무사고 할인을 받게 되지만, 사고 이력이 사라지기 전 또 사고가 발생하면 할증요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자동차보험료 할증 대처하기

자동차보험 할증을 대처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상황에 맞는 현명한 판단입니다. 자신의 보험 등급을 유지하거나 할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사고가 났을때 통증이 심하다면 보험료 인상 걱정보다 치료를 우선시 해야 합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처럼, 보험료 아끼려다 치료를 소홀히 하면 오히려 더 큰 의료비를 감당해야 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최대한 사고가 나지 않도록 안전운전과 방어운전을 생활화하고 항상 좋은 운전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자동차보험료 할증에 대처하는 방법입니다.